오전시황
[11/28, 장 시작 전 짧게 생각: 맷집, 키움 한지영]
- 다우 -0.3%, S&P500 -0.4%, 나스닥 -0.6%
- 델 -12.3%, HP -11.4%, MS -1.1%, 엔비디아 -1.2%, 노드스트롬 -8.1%
- 미 10년물 금리 4.25%, 달러 인덱스 106.0pt, 달러/원 1390.4원
1.
미국 증시는 블프 휴장을 앞두고 차익실현 물량, 미국 독주 내러티브 약화 등으로 숨고르기 장세를 보였습니다.
PC 업체 델은 숨 넘어가는 주가흐름을 보였는데,
AI 서버 수요 호조에도, PC 판매 부진, 25년 가이던스 하향 등으로 12%대 폭락했네요.
동종 업체 HP도 분기 실적과 가이던스 부진으로 11%대 폭락했고,
MS 반독점 이슈까지 더해지면서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도 1.5%대로 밀렸네요.
또 요새 시장의 AI 매매 방식이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 쪽으로 돈 갈아태우자”였던 만큼,
센티나 수급 상으로 반도체주들에게 힘겨운 하루를 보내게 만든 듯합니다(소프트웨어 업체 주가도 그리 좋지 않았습니다).
2.
금리와 달러의 하락세가 나타났다는 점은 나름의 수확인거 같습니다.
10월 PCE 물가(2.3%YoY, 컨센 2.3%)가 전달(2.1%)에 비해 높게 나왔으나,
이미 10월 인플레 높아지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었고, 예상에 부합했다는 점이 되려 안도감을 제공했습니다.
그 여파로 12월 인하 확률도 60%대로 올라섰고, 10년물도 4.2%대로 내려왔네요.
최근 금리 상승은 “미국 경기만 엄청 좋을 것이다”의 논리도 가세했는데,
어제 노드스트롬, 콜스와 같은 백화점 체인들 주가가 동반 약세를 보였다는 점도 특징적입니다.
이번주 블프 쇼핑 데이터랑 다음주 고용이나 ISM 등 탑다운 지표들을 더 확인해 봐야겠지만,
일단 11월에 발표된 지역 연은의 제조업 PMI들 숫자가 잘 안나왔고,
바텀업 단에서 기업들의 분위기를 보면 미국의 소비 경기가 “노랜딩” 자신감을 더 강화시키진 않을 듯 합니다.
3.
국내 증시의 발목을 붙았던 달러/원 환율도 어느새 1,390원대 극초반까지 내려왔네요.
1,400~1,410원대에서 환율 상단 막혀있는 걸 보면,
뉴노멀 환율 시대라고 해도 시장이나 당국이나 1,400원대 위에서 변동성 확대는 억제하고 싶어 하는거 같네요.
오늘 금통위(동결 컨센) 이후에도 환율 레인지 변화는 크지 않을 수 있는 만큼, 금통위 결과가 오늘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이지 않을까 싶네요.
이보다는 미국 반도체주 약세로 국내 반도체주 주가가 한차례 더 곤혹을 치를까봐 걱정이긴한데,
전일 선반영된 것도 있는데다가 요 며칠새 증시 전반에 걸친 맷집은 좋아졌다는 점에 주안점을 두어야겠습니다.
댓글
해외선물 정보
해선 라이브 포인트 제도
Austan Goolsbee 시카고 연은 총재(비둘기파, 투표권 있음)
1월 15일 기준 연준 전체 자산 규모는 전주 대비 195억달러 감소한 6조 8,341억달러.

[뉴욕증시 하락]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01월 16일 국내 증시 마감시황]
📮 25년 1월 16일 목요일 간추린 아침뉴스입니다.
★★01월 16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2025년 1월 16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뉴욕증시 상승]
[01월 15일 국내 증시 마감시황]
📮 25년 1월 15일 수요일 간추린 아침뉴스입니다.
2025년 01월 15일 [수]
SK하이닉스, 엔비디아에 'HBM4' 조기 공급...6월 샘플·10월 양산할 듯
틱톡, 일요일 미국 내 즉각적인 서비스 종료 준비 - The Information
채권시장에 대한 추가 집중 필요
